-
1.
- 풀피리 연주자 4인의 기법 비교 연구
- 전진영,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, [2010]
-
2.
- 풀피리 지도가 국악 개념 이해도 및 수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: 초등학교 6학년 국악 교육을 중심으로 = The effect of music lesson using Pulpiri on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student's interes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6th Grade.
- 박은주, 경인교육대학교, [2014]
-
3.
- 풀피리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= Study on methodologies of grasspipe teaching
- 성수현,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, [2009]
-
4.
- 이성천 독주곡 제42번 '풀피리' 악곡 분석 = (A) Solo-tune of piri in a analysis of music 『Ful-piri』by Sung-Chaen Lee
- 강미연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5.
- 이성천 작곡 피리독주곡 《제42번 풀피리》의 분석 연구
- 하은비, 목원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김혜란 작곡의 <피리와 첼로를 위한 '시간과 공간(間)'>의 분석연구
- 방유빈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전남 굿 무가 반주음악 연구 –피리를 중심으로- = A Study of Shaman accompanying music in Jeonnam Province – Focusing on the Piri (Double-Reed Oboe)-
- 서정민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피리의 취법(吹法)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Piri's embouchure
- 박치완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9.
- 진도씻김굿에 나타나는 아쟁선율에 관한 연구 : 진도씻김굿의 '길닦음' 중 박병천에 의해 전수된 이태백의 아쟁선율에 한하여
- 김선제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10.
- 거문고의 해탄에 관한 연구 : 현행악보 및 고악보에 기하여
- 이창홍,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, [198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