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천군계 의인소설 천군기의 교육적 의의 연구
- 이윤재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2.
- 18세기 野談集의 서사지향과 서술방식 : 『天倪錄』과 『東稗洛誦』을 중심으로
- 이승은, 高麗大學校, [2016]
-
3.
- 한국 만담 연구 : 박춘재·신불출·장소팔의 발화와 수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Korean mandam :Focused on Bak Chunjae·Shin Bulchul·Jang Sopal’s utterance and rhetorical featue
- 유대용,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, [2020]
-
4.
- 맹자 왕도사상의 형성과 전개 : 그 철학적 성찰
- 이기호,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09]
-
5.
-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 그리고 웨슬리를 통해 본 그리스도교의 인간이해와 구원론
- 정준환,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, [2003]
-
6.
- 李仲燮의 群童畵를 中心으로한 兒童化 要素 硏究 = A study on the element of juvenile pictures in Lee Jung Seop's paintings of children
- 이혜정, 수원대학교, [2017]
-
7.
- Theoretical studies on the freestanding thin polymer film with nanoparticles and the coarse-grained force fields of methane
- 정진관,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8.
- 荀子의 人間觀과 政治思想 = Hsun-tzu's View of Human & Political Thought
- 하운하,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[1993]
-
9.
- 톰 브라운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풍자적 표현 = Satirical expression in Thom Browne's fashion design
- 김연주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10.
- 농악대 고사(告祀)소리의 지역별 특성과 변천 양상 = (A)regional peculiarity and change of the farmer's folk band Gosa(告祀)Sori
- 최자운, 경기대학교,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