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203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판소리 사설에 내재된 생명존중사상 연구 : 〈홍보가〉, 〈수궁가〉, 〈심청가〉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Life-respecting Thoughts embedded in Pansori Narratives : Chiefly on Heungbo-ga, Sugung-ga, and Simcheong-ga
- 문정하,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[2020]
-
2.
- 판소리 문학의 학습자 중심 수준별 교수·학습 방안 연구 : <춘향>문학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f the learner-centered and the ability-based teaching-learning plan in Pansori literature : in the center of the <Chunhyan> literature
- 박근혜,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1]
-
3.
- 창작판소리에 관한 예술사회학적 연구 : 1970~2000년대 창작판소리 중심으로
- 서민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4.
- 19세기말~20세기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 =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change in Pansori from the last 19th to the 20th century.
- 김영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5.
-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판소리 <적벽가(赤壁歌)> 교육 연구 : 양주평화(揚州評話) <화소적벽(火燒赤壁)>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Pansori(판소리) Jeokbyeokga(<적벽가>)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in China Focusing on Comparison with Yangzhou Storytelling Huoshaochibi(<火燒赤壁>)
- 곽자청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판소리의 발음과 음악적 표현 =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and the Musical Expression of Pansori
- 노민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판소리의 藝術的 典型化 過程 硏究 : 文化接變 樣相을 中心으로
- 한상일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1]
-
8.
- 창작판소리의 현대적 전승과 지속가능성 연구 = A Study on the Modern Transmission and Sustainability of Creative Pansori
- 김그린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, [2025]
-
9.
- 판소리 너름새와 口技, 優戱의 관련양상
- 우지용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10]
-
10.
- 1910년대 판소리 여성 연행주체의 형성과 성장
- 송미경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