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3건 중 173건 출력
,1/18페이지
-
1.
- 우담 성리설의 퇴계학파적 성격
- 배민식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嶺南學派 書院의 風水立地에 관한 연구 : 退溪와 南冥의 風水的 思惟를 중심으로 = Study on auditorium's geomancy position : focusing on toegye and nammyeong's perspective of geomancy
- 반오석, 東義大學校 大學院, [2011]
-
3.
- 退溪 李滉의 格物ㆍ物格 讀法과 退溪學派의 계승ㆍ변용
- 이원준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4.
- 退溪學派 主理論에 관한 硏究 = (A) study about Ju-ri theory of teogye shcool
- 김승태, 韓南大學校 大學院, [2002]
-
5.
- 퇴계학파의 경(敬)사상을 기준으로 한 〈의암별제〉 춤 구조 분석 = Analysis of the dance structure of 〈Uiambyeolje〉 performance based on The Kyeong(敬) pPhilosophy of Toegye school
- 김지혜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16~17세기 朝鮮 性理學의 分化와 그에 따른 建築空間의 特性에 관한 硏究 : 退溪學派와 栗谷學派의 思想을 中心으로 = (A)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pecialzation of Joseon confucianism inthe 16th-17th C.
- 도윤수,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, [2006]
-
7.
- 退溪學派의 主理論에 관한 硏究 = A study about Ju-ri theory of Teogye school
- 김승태, 韓南大學校, [2002]
-
8.
- 퇴계와 율곡의 정사(精舍)·구곡(九曲) 조영(造營)의 철학적 의미 연구
- 최준묵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9.
- 栗谷學派 性理說의 展開와 湖論 思想의 形成
- 나종현, 서울大學校, [2019]
-
10.
- 16세기 중반∼17세기 후반 栗谷學派의 경전해석과 분화과정 연구
- 강민우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