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지속되는 전쟁과 공동체의 문학 : 황순원, 한무숙의 소설을 중심으로
- 남은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2.
-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을 통해 본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
- 이아름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15]
-
3.
- 동아시아 근대의 전쟁에 대한 한·중·일 삼국의 역사인식 비교 : 한·중·일 삼국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
- 문재윤,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4.
- 오즈 야스지로(小津安二郞)의 영화에 나타난 무상관 고찰 : <늦봄晩春>과 <도쿄 이야기東京物語>를 중심으로
- 배민정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이부세 마스지(井伏준二)의 작품에 나타난 전쟁인식 : '꽃의 거리(花の町)'와 '요배대장(遙拜隊長)'을 중심으로
- 이금선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06]
-
6.
- 이병주의 「관부연락선」 연구 = (A) study on Lee Byongjoo's 'Kwanbu-yeolakseon'
- 강경선,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7.
- 전시(戰時) 일본 국책선전지 『사진주보』의 남방(南方) 인식과 선전
- 최우현,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8.
- 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와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: 전전에서 전후로의 계승과 쇠퇴를 중심으로 = Japanese Children's Popular Culture and Realistic Depictions of Machinery : Focusing on the Succession and Decline from Pre-war to Post-war
- 하성호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9.
- 북한 '핵무력'의 동학과 네트워킹 = North Korea's Nuclear Dynamics and its Networking
- 박요한, 숭실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10.
- 미조구치 겐지(溝口健二) 영화의 여성상 연구
- 김희경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