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캐나다화인화문작가 陳浩泉 소설에 나타난 초국적 화인 이주자의 모습
- 최하경, 부산대학교, [2020]
-
2.
- 재캐나다 한인 시 연구
- 박준희, 대구가톨릭대학교, [2009]
-
3.
- 캐나다 다문화주의와 소수인종 서사 : 『푸른 초원, 흐르는 강물』, 『잔월루』, 『오바상』을 중심으로
- 김미령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4.
- 문학기록의 정리·기술 방안 연구
- 정남희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"To Who or What Turns Up" : Imagining Ethical Hospitality through Canadian Refugee Narratives = “누가 혹은 무엇이 나타나는가”: 캐나다 난민 서사를 통하여 윤리적 환대를 상상하기
- George, Patricia Lynn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6.
- 국외소장 한국문학 번역출판물의 형태서지적 특징 연구
- 박혜민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국어과 문학교과서를 활용한 일본어교육 : 문학교과서의 일본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Japanese Education Used by Korean Literature Textbooks : centered into Japanese literary works in literature textbooks
- 정미경,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8.
- 연경좌담(演經坐談)의 제작 배경과 문학적 성격
- 문혁,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8]
-
9.
- 토양수분과 식생 스트레스에 대한 생태수문학적 해석 = Ecohydrological Analysis on Soil Water and Plant Water Stress
- 한수희, 부경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10.
- 북미 화인화문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문학적 특징 : 白先勇, 於梨華, 張系國, 聶華苓을 중심으로 =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iasporic Literature embodied in Chinese-language Literature by Chinese Diaspora in North America : PAI, Hsien-yung, YU, Li-hua, Chang, Shih-kuo and NIEH, Hua-ling
- 고혜림, 부산대학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