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Trauma and Narrative Strategies in Toni Morrison’s Beloved and Mo Yan’s Red Sorghum = 토니 모리슨의 「빌러비드」와 모옌의 「홍까오량」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서사전략
- 리자위,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2.
- 『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』에 나타난 통치 기제와 연극성 = Cleopatra’s Rulership and Theatricality in Antony and Cleopatra
- 김민경,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3.
- 맬러리의 『아서왕의 죽음』에 나타난 기사도 규범과 여성의 힘 = The Chivalric Code and Woman‘s Power in Thomas Malory's Morte d'Arthur
- 김혜경,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3]
-
4.
- 『제인 에어』에 나타난 '방'의 의미 = (The) Meaning of a Room in Jane Eyre
- 김은영, 호서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이시구로 가즈오의 『나를 보내지 마』와 필립 K.Dick의 『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?』에 나타난 정체성 투쟁과 윤리적 갈등에 대한 포스트휴머니즘적 분석 = A Posthuman Analysis of Identity Struggles and Ethical conflicts in Kazuo Ishiguro’s Never Let Me Go and Philip K. Dick’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?
- 리단치,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6.
- 역사와 장르의 전용을 통한 크리세이드 변호 : 초서의 『트로일러스와 크리세이드』와 헨리슨의 『크리세이드의 유언』을 중심으로 = Defending Criseyde/Cresseid in Chaucer's Troilus and Criseyde, and Henryson's Testament of Cresseid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history and genres
- 이지혜, 호서대학교, [2018]
-
7.
- 『프랑켄슈타인』에 나타난 여성의 재현
- 이수지, 호서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8.
-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formed Great Mothers in Dune and The Three-Body Problem from a Feminist View = 《듄》과 《삼체》에 나타난 변형된 위대한 어머니들에 대한 페미니즘적 관점에서의 비교 연구
- 류차오,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9.
- 한국 여성의 폐경 여부에 따른 식이 패턴과 골다공증 위험 간의 연관성 : 전향적 코호트 연구 =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Osteoporosis in Pre- and Postmenopausal Women: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Korea
- 최예정, 영남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10.
- 구절초(Chrysanthemum zawadskii var. latilobum) 유래 cumambrin B의 난소암 억제 효과
- 최예정,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