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독거노인의 고독감 및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연구 = (The)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,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
- 최인영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2.
- 정신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돌봄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=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aring experience in families with mental disabled children
- 한지연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3.
- 취업정신장애인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: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=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on job satisfaction :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ive factors
- 홍은주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앤더슨 행동모형을 적용한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서비스 이용 요인 연구 = The study on the factors in explaining the use of post-suicidal care services
- 박은경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5.
-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: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perceived by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es on their recovery: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
- 나성미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6.
-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=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f the Long-term Care Workers on The Turnover Intention :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
- 최충석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7.
- 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청년기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= Th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parent on the social adaptive behavior of development-challenged youths
- 이은숙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8.
- 결혼이주여성의 갈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: 결혼생활을 중심으로 =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nflict in migrant Women’s Marriage
- 최연숙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9.
-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 연구 =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 over and burn out among the social workers
- 김정현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10.
-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=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among the elderly :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
- 김새봄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