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태국 내 대학에서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: 문화교육 항목 선정을 중심으로
- Wanvisa, Baithong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2.
- 결혼이주 중국여성 청소년 자녀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연구
- 왕설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3.
- 드라마에 재현된 한중 노년/노인 문제의 비교 연구 : <디어 마이 프렌즈>(한국)와 <亲爱的她们>(중국)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f Seniors/Elderly Problems Represented in a Drama: Focusing on <Dear My Friends> (Korea) and <Dear them>(China)
- LIFANG JIN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4.
- 신자유주의와 <무한도전>의 문화정치학 = Neoliberalism and Cultural Politics of <Infinite Challenge>
- SUN CHEN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6]
-
5.
- 조선 후기 야담에 재현된 이계 서사의 고찰 : 『요재지이』와의 대비를 겸하여 = A Study on the Mysterious World Stories of Yadam during Late Chosum Dynasty : Compared with Strange Tales of Liaozhai
- Yuan, Fangcao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6.
- 한국 전통음악의 초국가적 실천과 청년예술가의 정체성 모색
- 이예은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7.
-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- <비정상회담>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- =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Media - Focusing o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'Non-Summit'-
- 녹요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8.
- 노년 여성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의 한·중 비교 : 영화 <수상한 그녀>(한국)와 <20세여 다시 한 번>(중국)을 중심으로
- 박정현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9.
- 북촌 한옥마을에 대한 문화해석학적 연구
- 박세현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정의의 감수성과 동아시아 공감 : 2010년대 한·중 드라마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- Sun Chen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