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선시대 왕실의 은공예품 수요와 은장(銀匠) 연구 = A Study on Demand for Silver Crafts for Joseon Royal Family and Silver Craftsman and Silver Craftsman
- 조윤정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2.
- 조선후기 왕실 부용향(芙蓉香) 연구 = A Study on Buyong incense in the late Joseon Dynasty
- 하수민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3.
- 조선후기 번와소(燔瓦所)의 기와 생산체계와 제작기술 = A study on The Roof-tile Production System and Technique of Bun-waso in the Late Chosun Dynasty
- 김하진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4.
-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제작과 기술전승의 과제 = The Manufacturing of Portable Silver-inlaid Tobacco Box and Issues related to Technology succession
- 송은선, 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5.
- 한국 건칠불상 제작기술 연구 =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Dry-lacquered Buddha Statue in Korea
- 임슬령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한국 근대 궁궐건축의 공간과 장식 특성 연구
- 조시내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충남·전북지역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 = Intangible heritage value of Rice straw symbols in Chungcheongnam-do and Jeollabuk-do
- 이은희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8.
- 한국 다회(多繪)의 전통과 기술의 변모
- 설지희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9.
- Slow Craft: 생태학적 공예의 대안 = Slow Craft: Ecological Craft as an Alternative
- 조준연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10.
- 조선시대 섬마(纖麻)기술의 변천과 근대적 개량 = A Study on Change and Modern improvement of Hemp fiber production technology during the Joseon Dynasty
- 공상희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