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내용 설계 연구 = A Study on Culture Education Contents Desig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
- 황설운, 배재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2.
- 방문교육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한국어지도사의 다문화 의식과 효능감 연구 : 대전, 충남지역을 중심으로
- 이정희,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3.
- 초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말 실태 연구 : 문법 설명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er Talk in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 : Focusing on the Grammar Explanations
- 서정애, 배재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4.
- 초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의사소통 기능 기반 말하기 교육과정 연구 =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s-Based Speaking Curriculum for Beginner level of Korean Learners
- 한선화, 배재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매체 특성별 한국어 말하기 교수 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-culturalFamilies Using Different Media
- 김초롱,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6.
- 한국어 구어 담화 능력 향상을 위한 가요 활용 연구 = A Study on Utilization of Popular Song for Improving of Spoken Language Discourse Ability in Korean Language
- 김나경, 배재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7.
- 중심부결합인자 (Core Binding Factor)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c-KIT 돌연변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 = Prognostic Impact of c-KIT Mutation in Core Binding Factor Acute Myeloid Leukemia (CBF AML)
- 박상혁, 울산대학교, [2011]
-
8.
- 중등과정 KSL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진단 평가 연구 :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Evaluation for KSL Student in Secondary Education : Focus on Korean Subject
- 권문경,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7]
-
9.
- 외국인 어투에 대한 한국 초등학생의 언어 태도 연구 = A Study on Korean Elementary Students’ Language Attitude toward Foreign Accent
- 김민영,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10.
- 이주민 대상 한국어시험의 맥락 타당도 연구 = A study on context validity of Korean language tests for immigrants
- 오승영, 배재대학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