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雜記를 통해 본 북송 문인들의 원림 향유 양상
- 노현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2.
- 중·한 원림문화경관에 담긴 의경 기법에 관한 비교연구 : 무석 기창원과 담양 소쇄원을 중심으로
- 위첨첨,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3.
- 홍길주 『숙수념』 연구 : '숙수념'으로 공간화된 지(知)
- 김성은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4.
- 중국 고전 사가원림의 가시성 분석을 통한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=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through the Visibility Graph Analysis of classical private gardens in China
- 셰나, 호서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5.
- 중국 명대 원림화(園林畵)의 문인화(文人化) 경관 연구 = A Study on Literary Landscape of Landscape Garden Painting in Ming Dynasty of China
- 방첨우,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6.
- 다산 정약용의 자연관이 원림조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
- 최인애, 상명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7.
- 시문(詩文)을 통해 본 치원 황상(?園 黃裳)의 원림 연구 = A Study on Chiwon Hwang-Sang’s Garden through Literature
- 송광훈,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, [2024]
-
8.
- 명승 담양 식영정 원림의 문화자원 연구 = A Study on the Cultural Resources of the Garden of Damyang Sigyeongjeong, a Scenic Site
- 이강수, 전남대학교, [2024]
-
9.
- 소주원림에 나타나는 자연추구기법에 관한 연구 : 계성의 원야를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naturalness-seeking techniques appeared in the Suzhou Garden
- 김은형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10.
- 韓國 亭子園林에 關한 硏究 : 無等山 地域을 中心으로
- 최은숙, 全南大學校, [198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