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국악교육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인식조사
- 황상아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2.
- 합창활동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(1999-2011)
- 서경화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3.
- 중학교 음악 수업에 마이크로비트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융합 수업 개발 및 적용
- 황은지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4.
- 고등학교 음악 중심의 융합인재교육(STEAM)을 적용한 교수·학습 지도안 개발 연구
- 김정민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5.
- 협동학습 TAI 모형을 적용한 초등 방과후학교 클라리넷 수업 지도 방안 연구
- 현경애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6.
-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음악 창작수업 지도 방안 연구 : 사운드스케이프 활용을 중심으로
- 한우정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7.
- 아츠 프로펠(Arts PROPEL)을 활용한 그룹 피아노 지도안 개발과 적용: 초등학생을 대상으로
- 전혜린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8]
-
8.
- 유년기의 음악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: 초등학교 4·5·6학년을 중심으로
- 이복음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9.
- 음악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육을 적용한 다문화주의 교수-학습 지도안 개발 : 영화 '패왕별희'를 활용하여
- 김시내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10.
- ASSURE 모형을 적용한 디지털매체 활용 국악창작수업 지도안 연구
- 문수진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