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: 진로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=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: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-efficacy
- 정윤정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가출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희망의 매개효과 = Mediation effects of self-efficacy and hope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f runaway youths
- 김연주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3.
-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: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= Adult attachment and post-traumatic growth : Mediating role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
- 유미해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4.
- 후기청소년의 애착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 우정에 관한 연구 = Study on online and offline friendship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
- 안희진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: 경험회피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
- 김혜원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자기자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: 탈중심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= Influence of self-compassion on undergraduate students' psychological well-being :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emotion dysregulation
- 황지연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The outcome of acute fulminant myocarditis in neonates and children requiring ECMO: A systematic review and meta-analysis = 체외막 산소공급장치가 필요한 신생아 및 소아에서 급성 전격성 심근염의 결과: 체계적 문헌 검색 및 메타분석
- 최슬아, 전남대학교, [2023]
-
8.
-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: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매개효과 =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ed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: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
- 김성주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: 성별과 성적 자기주장의 조절된 매개효과 =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dating violence perception :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and sexual self-assertion
- 김차은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10.
- 연인과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,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, 이별 후 성장의 관계 : PTSD집단과 비PTSD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=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,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, and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mong college students :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PTSD group and the non-PTSD group
- 김려화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