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7차 중학교 『국사』의 국왕에 관한 내용 개선 방안 : 조선전기를 중심으로
- 이수진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2.
- 7차 중학교 『국사』와 『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』 비교 연구 : 조선시대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f the 7th For-Middle-School-Student National History between the State Text book and Live Korean History Textbook : Centering on the contents describing the Joseon era
- 김현진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3.
- 갑오개혁 전후의 '국민'교육의 논의와 전개 = (The)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'the nation' education around the period of gabo reforms
- 정혜란, 부산대학교, [2005]
-
4.
- 비파에 관한 사적(史的) 고찰 : 문헌상에 수록된 비파를 중심으로
- 한은영, 중앙대학교, [2004]
-
5.
- TV사극에 표현된 분장사례연구 : MBC사극드라마 「이산」을 中心으로 = A case study on makeup in historical dramas on TV : focusing on MBC historical TV series 「Yi San」
- 오영철, 건국대학교, [2013]
-
6.
- 후고구려의 지향과 인식의 전개 = A Study on the Orientation and Historical Perception of Later-Goguryeo
- 홍창우, 전남대학교, [2021]
-
7.
- 황석영의『장길산』연구
- 박미숙, 계명대학교, [2005]
-
8.
-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고교 세계사 교과서의 한국사 서술 내용에 대한 분석
- 이현진,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9.
- 鶴山 李仁榮의 저술과 새로운 역사학 = (The)writing and New history of Lee In-Young
- 송기화,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10.
- 벽초 홍명희의 『임꺽정』 연구 = (A) Study on 『Im Kkok Chong』by Pyuk-cho Hong Myong-Hui
- 이민철,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