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4건 중 734건 출력
,1/74페이지
-
1.
- 심의린의 동화 운동 연구 : 옛이야기 재구성을 통한 조선어문학 교육을 중심으로
- 김경희, 서울대학교, [2016]
-
2.
- 심의린의 『조선동화대집』 연구/ : 수록 동화의 유형 분류 및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
- 이상희,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7]
-
3.
- 朝鮮 後期 銅畵白磁 硏究
- 홍승주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0]
-
4.
- 전래동화의 동물 등장인물 연구 : 조선전래동화집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Animal Character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
- 이인재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5.
-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전래동화 교육연구 : 『조선동화집』과 『조선전래동화집』을 중심으로 = Ethics education effects of folklore in restoring the ethnic homogeneity
- 허혜경, 부산대학교, [2009]
-
6.
-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동화주의의 변천
- 나카바야시 히로카즈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7.
- 일제의 민족동화정책 분석 : 조선과 만주국을 중심으로
- 보판우이, 高麗大學校, [1999]
-
8.
- 日本帝國主義의 民族同化政策 分析 : 朝鮮과 滿洲, 臺灣을 中心으로
- 호사카유우지, 高麗大學校, [1999]
-
9.
- 북한 구전동화의 정착과 변화양상 연구 = (A)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and changing pattern of oral folk tale of North Korea
- 서영미, 동국대학교, [2014]
-
10.
- 효과적인 독일어 수업을 위한 독일동화 활용 방안 연구 = Eine Studie über die Anwendung des deutschen Märchens im Deutschunterricht
- 박소정, 조선대학교 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