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道德敎育에서의 理性과 習性
- 조난심, 서울대학교, [1982]
-
2.
- 道德敎育의 目的으로서의 自律性 : 그 意味와 限界 = Autonomy as an aim of moral education : its meaning and the limits
- 조난심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91]
-
3.
- 도덕과의 통합적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의견 분석 = (AN) ANALYTIC STUDY ON TEACHERS' OPINION ON AN 'INTEGRATED EVALUATION' IN MORAL EDUCATION
- 정미영,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[1992]
-
4.
- 초등학교 인성교육에 관한 덕목별 현황 분석 = (A) Study on Current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
- 박미화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1998]
-
5.
- 통합적 평가 모형의 접근에 의한 아동의 도덕성 유형 연구 = (A) Study on the Children's Morality Type based on the Intergrated Evaluation Model
- 임진자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1994]
-
6.
-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인성교육과 학교생활적응도와의 관계 = (The) relations between school character edu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
- 노수미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3]
-
7.
- 협력관계 형성 기반 과학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과학인성 변화 = Change of the Elementary Students' Scientific Character through Creat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- based Science Class
- 남일균, 대구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8.
- 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: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중심으로 = Influence of the Integrated Lesson of Art and Science for the 1st Graders of Highschool on the Creative Expression: Problem-Based Learning Model
- 조화영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9.
-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 과정의 내용 변천에 대한 연구 : 제3차 교육 과정에서 제7차 교육 과정까지(1973~) = On the moral subjec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from the 3th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
- 김일경,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4]
-
10.
- 홍익인간 이념 구현을 위한 공존지향 아동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=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existence-oriented childhood human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dea of hongik-ingan
- 김지영, 서울교육대학교, [2017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