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7건 중 217건 출력
,1/22페이지
-
1.
- 유아의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 :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= The Effect of Aggression Reduc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: A Systematic Review and Meta-analysis
- 조하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2.
- 웹기반 유아수학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: ARCS모형 적용 = Development and effects of web-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arly mathematics education with ARCS model
- 이근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=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for the early ca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he outside play
- 최은설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STEAM 기반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STEAM-based mathematical educ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's mathematical problem-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
- 김정희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읽기 흥미와 그림책 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읽기 과정 연구 :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= A Study on the Reading Process of 5-year-old Children based on Interests of reading and Picture Book Types : Using an Eye-tacker
- 정부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6.
-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사-유아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on Effect of Self-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Teacher-Infant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.
- 황성선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교사가 인식한 유치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: 유치원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및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= The Effect of the Servant Leadership of Kindergarten Director on Teachers’ Work Engagement: Mediator Analysis of the Culture of kindergartens and Moderating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eachers
- 손지향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8.
-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가 인식한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=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Korean and Chinese Preschool Teachers :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
- Zhang, Yajing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전문적 학습환경이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: 유아교사의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- =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: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Competency and Teaching Flow
- 윤정아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10.
-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: 교사 놀이성, 놀이교수효능감, 교수 창의성을 중심으로 =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' competency for play-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: teachers' playfulness, play teaching efficacy, teaching creativity
- 박지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