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39건 중 239건 출력
,1/24페이지
-
1.
- 초등교육현장에서의 정선아리랑 전수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: 정선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Initiation Status of Jeongseon Arirang at Primary Education Sites and Plans for Improvement
- 박용문,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2.
- 정선아라리의 전승현장과 변이양상 연구
- 이현수, 대구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3.
- An analytical study of eunhye kim’s jeongsun arari = 김은혜의 피아노를 위한 <정선아라리> 분석 연구
- Liu Ping, 수원대학교, [2021]
-
4.
- 양방언의 '정선아리랑 엮음아라리'에서 나타난 국악 장단을 활용한 일렉트로닉 음악 리듬 제작 연구 : 자작곡 '3rd Night'에서의 구현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rhythm production of electronic music b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 in 'Jeongseon arirang – yeokeum arari' of Yang Bang Ean : focused on creating in author's composition '3rd Night'
- 이상헌, 상명대학교, [2019]
-
5.
- 민요 "정선아리랑"과 정부기 "정선아리랑"의 주제에 의한 농요 분석 연구
- 李鎔菜, 中央大學校 大學院, [2001]
-
6.
- 전통시장에서의 스토리텔링 요소가 고객 매력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: 정선아리랑 시장 중심으로
- 심세훈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7]
-
7.
- '정선아라리 인형의 집'을 통해 살펴본 국내인형극 발전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Korean puppet show in the House of the Arari in Jeongseon
- 최서우,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8.
- 정선아라리의 構造的 特性과 歷史的 展開
- 정우택, 成均館大學校, [1985]
-
9.
- 정선아리리 가창자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 = (A) study on the performing context about singers of Chong-sun Arari
- 구영주, 강릉대학교 대학원, [1998]
-
10.
- 정선아리랑 지도방안 연구 :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instructional plan for Jeongseon Arirang -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
- 최인목, 강릉대학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