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<숙영낭자전>의 이본과 공간 의식 연구
- 김선현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2.
- <삼한습유>에 나타난 환상의 성격 연구
- 김윤미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3.
- <유충렬전>의 시공간적 성격과 의미 = A study on time and space on <Yuchungyeljeon>
- 김지혜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4.
-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<춘향전> 교육 연구 = The Method of <Chunhyangjeon> education applying the Intertextuality
- 정향심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5.
- 독해 전략 지도 방안 연구
- 전천석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6.
- <배비장전>의 형성과 훼절 양상 고찰 = A Study on Pattern of Forgoing and Background of <Baebijangjeon>
- 홍진주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7.
- 嘆老系 歌辭의 性格과 內容 考察
- 성혜후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8.
- 여성영웅소설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교육적 가치 연구 = A study on the Literary formation and Educational Value in the Female Hero novel
- 최현애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9.
- <조웅전>의 만남과 상상력 교육 = Encounters of <Jowoongjeon> and imagination education
- 이승희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10.
- 환경문제 인식개선을 위한 써피스 디자인 연구 = A study of surface design for improving awareness on environmental issues
- 이슬아,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