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전국역사교사모임의 활동에 대한 연구
- 이재희, 서울市立大學校, [2005]
-
2.
- 교과별 교사모임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: 전국역사교사모임을 중심으로 = (A)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subject-matter collaboratives : In Case of the organiza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
- 이선숙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3.
-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: 전국미술교과모임 참여 교사의 사례 분석 = A Study o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in a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of Art : case analysis of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Conference of Art Education
- 서진아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4.
- 한국 교사선교회(TEM)의 교육선교활동과 역사적 의의
- 홍세기, 고신대학교, [2018]
-
5.
- 새로운 역사서술체제로서의 내러티브와 대안 교과서 분석 = (A) study of the new history writing with narrative mode and alternative textbook
- 변웅룡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6.
- 한국 현대 역사교육 담론장의 형성과 '민주주의' 담론의 전개 =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Field of History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'Democracy'
- 손석영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7.
- 한일 역사 교육 교류를 통해서 본 상호 이해와 협력의 역사 학습 방안
- 정진숙,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8.
-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고찰
- 김정예, 이화여자대학교, [1994]
-
9.
- 한국기독교평화운동연구 :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사회봉사부, 한국YMCA전국연맹 생명평화센터, 개척자들 중심으로
- 최수철, 성공회대학교, [2011]
-
10.
-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와 역사 교과서 대화 방안
- 현혜선,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