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표현 영역 교육 방안 연구 : 주제 중심 모델(Theme-based-model)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Integrated Korean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Using Classical novels : Focusing on a Theme-based model
- 이소원, 경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2.
- 몽골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: 한국과 몽골 설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Plan for Mongolian Intermediate Learners :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Mongolian folk tales
- 나간 엑쉬겔렌트, 경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사자성어 교육 방안 연구 =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 of Korean 4-letter-idioms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
- 쉬샤오난, 경상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4.
- 중소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: 진주시를 중심으로
- 성윤학, 경상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5.
- 한·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기녀 양상 비교 연구 : 조선 기녀 등장 소설과 중국 『삼언(三言)』을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age of Kinio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 novels : focusing on Joseon-dynasty novels showing Kinio and Chinese Sanyan
- 류자, 경상대학교, [2018]
-
6.
- PP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: <해님 달님>설화를 중심으로
- 손열, 경상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7.
- 고전대하소설의 시비(侍婢) 연구 = A Study on Maids of the Classical Long Novels
- 김민정,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雙釧奇逢 連作 硏究
- 장시광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96]
-
9.
-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= (A)study on female-antagonists of long novels
- 장시광, 서울大學校, [2004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