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6건 중 126건 출력
,1/13페이지
-
1.
- K-MBSR(한국형 마음챙김 명상)과 CAP+(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) 결합 효과 : 전문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스트레스, 정신건강, 진로자기효능감 중심 = The combined effects of K-MBSR and CAP+: on Employment Stress, Mental Health, Career Self-efficacy of college prospective graduate
- 강경연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2.
-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: 분노억제와 전위 공격성의 매개효과 = Th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in Childhood on the Depression in Adulthood: Mediating Effects of Anger-in and Displaced Aggression
- 이나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3.
- 긍정정서가 우울 경향군의 시각적 주의 범위와 재평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on visual scope of attention, reappraisal inventiveness in depressed individuals
- 류연진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4.
- 부정 정서강도와 걱정의 관계 : 마음챙김과 고통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= The Relationship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Worry :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Distress Tolerance
- 이현선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정서조절 전략과 인지적 반응성의 관계 : IRAP 측정을 중심으로 =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Cognitive Reactivity
- 정현석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6.
-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강박증상의 관계 : 책임감과 분노억제의 이중매개효과 =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Obsessive-Compulsive Symptoms :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Responsibility and Anger-In
- 김지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자기비난, 내면화된 수치심, 자기은폐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: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: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-Compassion = The Effects of Self-Criticism, Internalized Shame and Self-Conceal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
- 이유빈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수용처치가 신체화경향성집단의 신체감각증폭지각 및 증폭된 생리적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Acceptance on th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amplified physiological re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Somatic Symptoms
- 최미나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9.
- 한국형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와 그 변화기제: 긍정정서, 부정정서 및 마음챙김의 매개역할 = The Effect of Korean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n University Student'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Change Mechanism: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, Negative Affect and Mindfulness
- 정지용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10.
- 병리적 자기애에서의 주도성과 친화성에 따른 명시적·암묵적 자존감 = Implicit and Explicit Self-Esteem in Pathological Narcissism related with Agency and Communion traits
- 전유겸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