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서울 1960-70년대 도시계획에서 「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」의 의미 = Jamsil District Comprehensive Master Plan(1974) in the context of Urban Planning of Seoul during 1960-1970s
- 김진희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1]
-
2.
- 低密度아파트再建築에 따른 敎育環境 變化 硏究 : 잠실·반포지구를 중심으로
- 임찬식,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, [2011]
-
3.
- 한강시민공원 지구특성과 자전거 이용자권역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: 잠실지구와 양화지구를 중심으로
- 박정선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4.
- 잠실商業業務地區 開發計劃 : 都市設計技法을 適用하여 = Urban design program for the Jam-Sil
- 이춘호, 서울大學校 環境大學院, [1982]
-
5.
- 漢江高水敷地의 잔디生育環境에 關한 調査硏究 : 광나루.蠶室.盤浦地區를 中心으로
- 김영식, 漢陽大學校, [1988]
-
6.
- 蠶室地區 複合建築計劃에 관한 硏究
- 한명수, 國民大學校, [1988]
-
7.
- 서울蠶室地區의 都市化에 對한 硏究
- 이진환, 서울大學校, [1980]
-
8.
- 오픈 스페이스 체계 형성을 통한 한강변 주거단지 설계 : 송파구 잠실5단지 아파트지구를 대상으로 = (A) Proposal for a Redesign of the Jamsil Fifth Apartment District, Seoul : Open Space System Design for the Hangang Waterfront Housing
- 정회경,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, [2010]
-
9.
- 新市街地開發地區 住居環境의 住民意識에 關한 比較硏究 : 上溪12,13團地와 蠶室5團地를 中心으로
- 최봉주, 東國大學校, [1990]
-
10.
- 보행 빅데이터를 통해 본 거주민 생활영역의 특성 연구 : 잠실지역 WalkOn 데이터의 생활영역 추정을 기반으로
- 이현우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