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예술가 소설의 죽음 서사 연구 : 토마스 만의 「베니스에서의 죽음」과 헤르만 브로흐의 『베르길의 죽음』을 중심으로 = Todesnarrative des modernen Künstlerromans: Analyse von Thomas Manns "Der Tod in Venedig" und Hermann Brochs "Der Tod des Vergil"
- 김수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미적인 것의 경계 : 쉴러의 미학과 『발렌슈타인』
- 이재영, 서울대학교, [2016]
-
3.
- 카프카의 「선고」와 「단식 예술가」에 형상화된 ‘주체의 죽음’이 갖는 의미 비교 = Der ‚Tod des Subjekts‘ in Kafkas Erzählungen <Das Urteil> und <Ein Hungerkünstler>. Eine vergleichende Analyse.
- 정성욱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4.
-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「미하엘 콜하스」에 나타난 법의 문제와 초자연적 요소의 관계 =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Problem des Rechts und dem Übernatürlichen in Heinrich von Kleists Michael Kohlhaas
- 권지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5.
- 우리나라 석탄화학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
- 임홍배,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, [1997]
-
6.
- 괴테의 『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』에 나타난 사회의식 = GesellschaftsbewuBtsein in Goethes Roman "Wilhelm Meisters Lehrjahren"
- 임홍배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1996]
-
7.
- 개인과 사회의 관점에서 본 W. Raabe의 「슈루트 가르트 삼부작」 = Wilhelm Raabes "Stuttgarter trilogie" : Betrachtet vom Gesichtspunkt "Individuum und Gesellschaft"
- 임홍배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85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