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6건 중 266건 출력
,1/27페이지
-
1.
- 壬辰倭亂 前後 국문시가의 太古 모티프 연구
- 이승준, 충북대학교, [2019]
-
2.
- 壬辰倭亂 前後 宮詞 研究
- 진명기, 中央大學校 大學院, [2019]
-
3.
- 韓·日 中學校 歷史敎科書에 서술된 「壬辰倭亂」比較 硏究 = Comparative Research on the as described in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
- 김수정,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4.
- 임진왜란(壬辰倭亂) 이후 경기 방어체제와 독산성(禿山城) = The study on the Gyeonggi Defense System and Doksanseong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
- 조경호, 한신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韓·中·日 中等 敎科書의 壬辰倭亂 관련 敍述 分析 = Analysis on Imjinweran(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) elaborated in the textbooks for secondary education in Korea, China and Japan
- 김갑숙,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6.
- 壬辰倭亂 時期의 火器硏究 = Firearms during Imjin War(1592~1598 A.D.)
- 정진욱, 淸州大學校 大學院, [2003]
-
7.
- 壬辰倭亂 時期 朝明聯合軍 硏究 = On the combined forces of Chinese and Chosen during Imjin-war period by Japanese invasion
- 최두환, 慶尙大學校, [2011]
-
8.
- 壬辰倭亂 시기 日記資料에 나타난 士大夫의 戰爭體驗과 平和 認識 : 『?尾錄』, 『孤臺日錄』, 『亂中日記』를 중심으로
- 변원섭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壬辰倭亂 직전 朝鮮의 戰爭情報에 대한 硏究
- 윤경하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10.
- 壬辰倭亂 初期 火器 發達의 沈滯 要因에 관한 考察 = (A) study on the reasons of the stagnation of firearms development in the beginning Imjinwaeran(壬辰倭亂)
- 김영우,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, [199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