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의 만남 유형과 사회성과의 관계 =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's perceived parental contact type and sociality
- 김경선, 청주교육대학교, [2018]
-
2.
-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수용과 아동의 자기주도성과의 관계 연구 =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's Accepta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hildren's Self Direction
- 류혜정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3.
- 율곡과 상담 = Yul-Gok and counseling
- 권순정, 청주교육대학교, [2017]
-
4.
- 글쓰기가 어린이의 공감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
- 심진규, 청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, [2014]
-
5.
- 초등학생용 자기성찰 프로그램 개발 = The development of a self-reflec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
- 남윤경, 청주교육대학교, [2019]
-
6.
- 안창호의 진정성 = An Changho and authenticity
- 곽경용, 청주교육대학교, [2016]
-
7.
- 이항복과 상담
- 나예원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8.
- 초등학생용 공감 6단계 동화 프로그램 개발 = Development of 6-Step Fairy tale Empathy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.
- 권슬아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9.
- 퇴계의 삶과 사상에 나타난 현전재성 연구 = A Study of Presence in the Life and Philosophy of Toegye
- 김현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10.
-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반응과 아동의 자기수용과의 관계
- 김미정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