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寓言의 서술방식과 소통적 의미
- 양승민, 고려대학교, [1996]
-
2.
- 羅末~鮮初의 傳奇文學 硏究
- 소인호, 고려대학교, [1997]
-
3.
- 家庭小說의 歷史的 變貌와 그 意味
- 이성권, 高麗大學校, [1998]
-
4.
- 松坡山臺놀이 硏究
- 이병옥, 高麗大學校, [1981]
-
5.
- 古代說話의 佛敎的 考察 : 三國史記와 三國遺事를 中心으로
- 인권환, 高麗大學校, [1961]
-
6.
- 高麗時代 佛敎詩의 硏究
- 인권환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1982]
-
7.
- 李奎報의 禪詩硏究
- 박완식, 又石大學校, [1993]
-
8.
- 한국 판소리 명창 제도와 내부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: 전주 대사습 명창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the Korean Myeng-chang and the change of its internal recognition
- 이화정, 전북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9.
- 安國善의 「禽獸會議錄」과 田島象二의 「人類攻擊禽獸國會」의 비교연구 = (A) study of literary comparison between Ahn Guk-Seon's “A story on animal debates (禽獸會議錄)” and Tajima Shoji's “The animal assembly against mankind (人類攻擊禽獸國會)”
- 왕희자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1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