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陶菴 李縡의 예학과 爲人之道 연구 : 『四禮便覽』 ?혼례편?을 중심으로
- 짱위자,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5]
-
2.
- 李梅窓과 柳如是의 한시 비교 연구
- 김혜경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3.
- <세경본풀이> 구조와 인물 연구 = (A)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shaman epic <SeGyeongBonpuri>
- 송영은,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5]
-
4.
- 崔致遠과 羅隱의 생애와 한시 비교 연구 = 崔致远和罗隐的生平及汉诗比较研究
- 바이징나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5.
- 『高麗圖經』에 나타난 고려시대 민속 양상 연구 : 신앙 · 의례 · 생활을 중심으로
- 허핀칭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6.
- 한국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호랑이의 상징성 연구
- 한형주, 경희대학교, [2012]
-
7.
- 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연구 : 吳敬梓 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= 樸趾源小說中出現的諷刺性?究:與吳敬梓小說對比?中心
- 인루이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8.
- 『일득록(日得錄)』을 통해 본 정조(正祖)의 선비 인식 고찰
- 황성연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9.
- 韓·中 禁忌說話 比較 硏究 : 民間信仰과 成立宗敎를 중심으로
- 배세은, 경희대학교, [2009]
-
10.
- 한 ‧ 중 정월 세시풍속의 기능별 비교 연구 : 설 ‧ 春節, 정월대보름 ‧ 元宵節을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n Functional Aspects of Annual Cyclic rite of Korea and China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: Focusing on seol ‧ ChunJie(春節), Jeongwoldaeboreum ‧ YuanxiaoJie(元宵節)
- 오정화, 경희대학교,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