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8건 중 538건 출력
,1/54페이지
-
1.
- 이성애 남성 섹슈얼리티 연구 : 비판적/정치적 남성성 연구를 위한 시론 = A Study on Heterosexual Male Sexuality : A Preliminary Study for Critical/Political Masculinity Studies
- 최태섭,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5]
-
2.
- 남성 동성애자의 이성애불편감(heterophobia) 척도의 타당화 = A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eterophobia scale for Gay Male
- 김준현,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, [2021]
-
3.
- 온라인에서의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경험과 성소수자(LGB)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: 내면화된 이성애주의의 매개효과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
- 이나은,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, [2024]
-
4.
- 사회적 낙인이 이성애자, 게이, 트렌스젠더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=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tigma on mental health of heterosexual, gay and transgender
- 민재옥,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[2016]
-
5.
- 이성애 연애의 젠더 권력과 20대 고학력 여성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연구
- 김다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6.
- 동성애 및 이성애 광고의 성 정체성에 따른 효과
- 박찬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00]
-
7.
- 이성애 규범성 해체를 통한 퀴어비평적 아가 읽기 = Queer Critical Reading of ‘The Song of Songs’ by Dissolution of Heteronormativity
- 이우연,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, [2023]
-
8.
- 여성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이성애주의와 성차별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: 성소수자 공동체 의식과 긍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
- 김수연, 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9.
-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성소수자(LGB)의 우울의 관계 : 이성애불편감, 반추, 긍정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=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and LGB’s Depression :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Heterophobia, Rumination, and Positive Identity
- 최유주, 한신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10.
- 올비의 『염소,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?』에 나타난 욕망의 다양성과 이성애 규범성 : 퀴어 이론의 관점에서 = Multiplicity of desire and heteronormativity in Edward Albee’s The goat, or who is Sylvia? : from the perspectives of Queer Theory
- 김미래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