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종묘제례악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: 작곡가 이복남의 <드오지오>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: Focusing on <Deuo-Jio> by Boknam Lee
- 노가인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한국 전통음악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: 작곡가 이복남의 국악앙상블을 위한 <그리움, 소리 위에 얹다>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: Focusing on <Longing, Put on the Sori> for Korean Traditional Ensemble Composed by Boknam Lee
- 이아름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이복남 작곡 가야금 4중주를 위한 “노랫가락” 분석 연구 = An analysis of "Noraetgarak" for Gayageum quartet composed by Lee, BokNam
- 박솔하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4.
- 대중음악에 나타난 실험성 : 프로그래시브 록에 관하여 = Experiments on Popular Music : Progressive Rock
- 김병규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5.
-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국악 기악 감상곡 지도 방법 연구 : 창작국악 기악곡을 중심으로
- 최유나,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6.
- 영화 장면과 흐름에 따른 주제 음악 활용 연구 : 영화『캐리비안의 해적 - 블랙펄의 저주』를 중심으로
- 한예슬,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[2014]
-
7.
- 봉산탈춤 음악의 현대적 활용 연구 : 제6과장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Modernization of the Bongsan Masked Dance Music -focusing on chapter 6-
- 이효원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하워드 쇼어의 영화음악 주제 활용 연구 : 『반지의 제왕 - 반지원정대』를 중심으로
- 허슬기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9.
- 음악교과서분석을 통한 합창지도방안 : 2007 개정,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
- 조미숙,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10.
-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따른 통합수업지도안 연구 : 2009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아시아민요를 중심으로
- 문승희,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