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50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한국 근대 초등도화교과서에 수용된 서양 근대미술교육 요소 : 제1~2차 조선교육령기를 중심으로
- 김희엽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2.
- 도화원의 다중성과 가변성에 대한 연구
- 임혜경, 전북대학교, [2006]
-
3.
- 圖畵署 制度 硏究 : 三國時代에서 近代까지
- 김선태 (金善泰), 弘益大學校 大學院, [2005]
-
4.
- <도화녀 비형랑>조의 서사구조와 의미 연구
- 문아름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도화서의 해체와 궁중화풍의 민간화
- 박정현, 성균관대학교, [2016]
-
6.
- 도화(桃花)메이크업의 매력정도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attractiveness of Dohwa make-up
- 김정은,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, [2016]
-
7.
- 朝鮮初期 圖畵機構와 畵員 = (The)painting bureau and the prefessional paint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
- 배종민, 全南大學校, [2005]
-
8.
- 朝鮮時代의 圖畵暑의 構成과 畵員의 身分 硏究 : 王朝初期의 畵員 安堅, 崔涇을 中心으로 = (THE) ORGANIZATION OF TOWHASO AND GOVERNMENT PAINTERS OF THE YI DYNASTY
- 이영미,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, [1990]
-
9.
- 무인기 영상용 도화 품질지표 및 최적 영상구성기술 개발 = Development of Mapping Quality Index and Optimal Image Composition technology for UAV images
- 임평채, 인하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10.
- 한국 근대 圖畵敎科書 연구 = (A) Study on Korean Modern Textbook of paintings
- 황혜정, 弘益大學校 大學院, [200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