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중 의학 전문용어 대조 연구 =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medical term in Korean and Chinese
- WU, YINGQIU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중국어 어휘 유래 배경(理據)연구 = 漢語語詞理据硏究
- 許善淑,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3.
- 모바일 웹페이지 디자인을 통한 중의양생학 (中醫養生學) 대중화 방안 연구 : 중의학 전적 『준생팔전·사시조섭전 (遵生八笺·四時調攝笺)』을 중심으로 = Populariz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alth Preservation through Mobile Web Design —Centered on the Classical Text ‘Zunsheng Bajian: Sishi Tiaoshe Jian
- 호소화,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, [2024]
-
4.
- 다의어 ‘잡다’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= 韓國語多義詞 ‘잡다'的中國語對應表現硏究
- 유천, 동국대학교, [2017]
-
5.
- TV드라마 『대장금(大長今)』의 중국어 번역 양상 분석
- 신현숙, 계명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6.
- 중국어 청취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: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
- 김은주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0]
-
7.
- 한국어의 신어와 중국어의 신어의 단어 형성법 비교 연구 : 2019~2020(코로나)년 신어를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n how to form new words in Korean and Chinese : focusing on the new words in 2019-2020 (COVID-19)
- Wei, fei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한국어 및 중국어 'X성(性)' 한자어 대조 분석
- FU CHENGYU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플립트 러닝을 활용한 성인 중국어회화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
- 장상군,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10.
- 한국어 정도부사 ‘더’와 중국어 ‘更’, ‘再’, ‘還’의 대조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dverbs ‘더’ and Chinese ‘更’, ‘再’ and ‘還’
- 소우택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