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‘은수미'(隱秀美)로 본 선경산수(仙境山水) 표현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
- 하산산, 목원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2.
- <천 년의 꽃>展 작품론 : Gum bichromate process 로 표현한 수미단의 꽃
- 최수정,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, [2017]
-
3.
-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 내러티브 탐구 = Narrative study on Stage Experiences by Middle-aged Dancers in Korean Traditional Dance
- 고효영, 동덕여자대학교, [2022]
-
4.
- 3차원 형태 특징의 다중 사전을 이용한 기하 복원 = Geometry reconstruction using multiple dictionaries of 3D shape features
- 황정민, 세종대학교, [2017]
-
5.
- 김매자 한국창작춤 <춤본Ⅰ>의 작품 구조 특성 연구
- 김미선, 동덕여자대학교, [2020]
-
6.
- 3차원 얼굴의 아트 디렉터블 주름 모델링 및 효율적인 렌더링 = Art-Directable Wrinkle Modeling and Efficient Rendering of 3D Human Faces
- 김현중,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4]
-
7.
- 아동이 지각한 주양육자의 공감능력과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 of Primary Caregiver's Empath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ity on Children's Social Competence
- 장선화,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7]
-
8.
- [소논문] 분석심리학의 페르소나 개념을 적용한 무용 작품 『무화의 순간』의 창작과정 연구 = A study on art works of Korean Creative Dance applied with analytic psychology of the Persona by Carl Jung work piece 『The moment of Nihilation』
- 박현정,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, [2014]
-
9.
- 진유림류 춤에 나타난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 연구
- 김형신, 동덕여자대학교, [2020]
-
10.
- 중년기의 마음챙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이중매개효과 = The effect of mindfulness in middle age on marriage satisfaction: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
- 장세리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