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초기철기시대 흑색마연토기의 변천 = Developments of the Black Burnished pottery in Early Iron Age
- 윤다정, 전남대학교, [2017]
-
2.
- 북한이탈주민 이해교육에서의 영상자료 활용방안 연구
- 김예슬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7]
-
3.
- 평화·통일교육과 반편견 교육의 연계방안 연구: 교사교육을 중심으로
- 이현주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1]
-
4.
- 통일교육에서의 또래조정 프로그램 개발 방안 = A study using peer mediation program in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
- 김서경, 서울교육대학교, [2018]
-
5.
-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갈등전환 방안 모색 : 회복적 생활교육을 중심으로 = A research on conflict transformation in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: focusing on restorative discipline
- 조성민, 서울교육대학교, [2017]
-
6.
- 한반도 생태평화 실현을 위한 통일교육 개선방안 연구 = A Study on Improvement Unification Education for Realization of Ecological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
- 정서영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3]
-
7.
- 홀로코스트교육 기반 평화·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=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ace·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Holocaust Education
- 김효진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4]
-
8.
- 초등학교 통일교육 개선 방안 연구 : 서울지역 통일교육 시범학교의 성과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improvement for elementary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: focusing on outcomes of unification education model schools in Seoul
- 이성미, 서울교육대학교, [2016]
-
9.
- 북한소학교 사회주의 도덕교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: 2012년 개정 저학년 도덕교과서 및 지도서 분석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the ethical curriculum in North Korea's primary school : analysis of low-grade moral textbooks and maps as amended in 2012
- 간우연, 서울교육대학교, [2019]
-
10.
-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(SEL) 기반 평화·통일교육 방안 = A study on the SEL-bas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integration
- 김혜린, 서울교육대학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