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영어일기를 활용한 쓰기지도 방안연구 = A Study of Teaching English Writing Using English Diaries
- 지현아,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2.
- 17세기 호남사대부 尹爾厚의 일상생활 : 생활문화적 기호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
- 이선영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23]
-
3.
-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: 『지암일기(1692~1699)』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
- 류인태, 韓國學中央硏究院, [2019]
-
4.
- 생활일기로 본 조선 중후기 반가의 상례 공간 = A study on the funeral space in upper-class Houses from the diary of the middle-late Joseon Dynasty
- 박다영, 부산대학교, [2023]
-
5.
- <안네의 일기> 조명디자인 및 프러덕션의 실제 : 디자이너의 노트북 = Lighting Design for <The Diary of Anne Frank> : A Designer's Notebook
- 심윤정,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01]
-
6.
- 시간 표현의 오류 분석 및 교정 지도 방안 연구 : 초등학교 5학년 일기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Analysis and Correction of Errors in Time Expressions : Focusing on the Fifth-Graders' Diaries in Elementary School
- 이지열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7.
- 연극 <안네의 일기>의 무대디자인과 제작과정 = Set designer's production notebook for <The Diary of Anne Frank>
- 박진희, 용인대학교, [2002]
-
8.
- 그림일기로 표현된 작품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
- 윤옥경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9.
- 다니자키 준이치로[谷崎潤一郞] 문학과 노인의 性 = Literary Works of Tanizaki Junichiro on the Sex-Life of Old Man
- 김진아,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10.
- 영어일기쓰기에 나타난 오류분석을 통한 쓰기지도방안 연구 : 초등학생을 중심으로
- 윤미정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