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동료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위자성 연구 : ‘42서울’ 교육생을 중심으로 = How Learners Learn Without a Teacher: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tudents of 42 Seoul, an Adult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Peer-Learning Environment
- 김정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Evaluation for Quality Education : Capability-based Evaluation Framework for Basic Education Quality = Capability 기반의 교육개발협력 기초교육의 질 평가프레임워크 개발 연구
- 이은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3.
-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행위와 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: 행위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= Life History Research on Actions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Youth Human Rights Activists: focused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action
- 조지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학교와 불평등 : 표준화 지향 교육제도의 보완적 효과와 그 한계 = School and Inequality: How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compensates disadvantaged students
- 임영신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학교교육과정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 일반고 부장교사의 행위주체성 탐색 = Exploring Assigned Teachers' Agency in High School Focusing on Curriculum Governance
- 김영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마을공동체 만들기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관리장치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in Korea
- 이경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교사 쏠림 현상 변화와 원인 탐색 : 서울시 교육청 내 공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= The exploration of change in teacher sorting and what causes them
- 김상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8.
- Stratified Persever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hilippines and Vietnam : Focusing on Educational Differentiation = 필리핀과 베트남에서의 계층화된 끈기와 학업성취도: 교육분화를 중심으로
- 김지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9.
- Impact of a Youth Non-formal Education Program on Empowermen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: Focusing on ‘SALUTE’ Program in Towerville, the Philippines = 임파워먼트와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청소년 비형식 교육프로그램의 영향: 필리핀 타워빌의 SALUTE 프로그램 중심으로
- 양지철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10.
- Critical Analysis and Dignitarian Recontextualization of UNESCO’s Discourse on the Right to Education : Focusing on Adult Education During the EFA Period (1990 - 2015) = 유네스코 교육권 담론의 비판적 분석과 존엄주의적 재맥락화: EFA시기(1990 ? 2015) 성인·평생교육을 중심으로
- 정용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