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'가부장' 없는 가부장제 : 한국 미혼모의 입양과 양육 실천
- 정소라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2.
- 한국 내 중국 이주민 음식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: 대림동 사례를 중심으로
- Jin, Meiling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3.
- 중국 신 노동보호정책과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: 북경(北京) 소재 한국계 기업의 노동관계 중심으로
- 허유나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4.
- Doing housework, doing gender :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80 hou (the post-1980s generation) dual-earner couples in urban China
- 여가흔, Graduate School, Yonsei University, [2015]
-
5.
- 재한 신세대 중국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: 서울지역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
- LI, NING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6.
- 이행기의 중국 "따마": "우링허우" "류링허우" 세대 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= Dama in Chinese Social Transformation Period: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"50's" and "60's Generation" Female
- 장영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6]
-
7.
- 비뇨기과 여성 전문의 경험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
- 이민석, 연세대학교 사회학과, [2018]
-
8.
- '이행' 불/가능성에 놓인 청년들의 삶과 노동의 재구성 : 제주 게스트하우스 스텝 "살이"에 관한 문화기술지
- 최해솔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9.
- 베일논쟁의 정치화와 이슬람 여성의 탈정치화 : 터키의 베일 정치(Veil Politics)를 중심으로 = Politicization of the Veil Debate and De-politicization of the Islam Woman: Focusing on Turkey’s Veil Politics
- ZUNBUL BETUL,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9]
-
10.
- 다문화언어강사의 인정투쟁 : 다중적인 차별에 맞선 수행적 시민권 실천 경험
- 윤승주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