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일제강점기 鄕土敎育 연구 : 역사‧지리 교재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Local Educ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: With a Focus on the History and Geography textbook
- 문지은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중국의 당군관계와 장교교육제도 변화의 상관성 연구 :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(PME) system and party-military relations in China :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
- 이두형,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, [2012]
-
3.
- 조선시대 생활사 체험학습 실행연구 : 조선후기 규합총서의 염색법을 중심으로
- 김덕규, 경인교육대학교, [2012]
-
4.
- 近代 韓日 兒童文化敎育 關係史 硏究 : 1895-1945 = (A) study of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Korean & Japanese children's cultural education : from 1895-1945
- 대죽성미, 延世大學校 大學院, [2002]
-
5.
- 교육 생태학의 관점에서 본 중국 대학교 공공 예술전공 교육에 관한 연구
- WU SONG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6.
- 북한 단소 교본 분석연구 : - 『조선민족악기총서 제1권 <단소편>』을 중심으로 - = Analyzing the North Korean Danso Textbook -Centering on "Danso," Volume 1 of the Korean National Musical Instrument Collection.-
- 김진섭,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7.
- 중국 전통 복식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: 성년식을 중심으로
- SUN YULAN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8.
- 교회학교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
- 강수연,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9.
- 조선조 문헌의 평가를 위한 비교 연구 : 〈연려실기술>, <대동야승>, <성호사설>, <택리지>를중심으로 = (A) comparative revire of Choson dynasty literatures : <Oyonlyosilkisul><Taedongyasung><Songhosasol> and <T'aekniji>
- 이혜림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1999]
-
10.
- 현대 중국의 바둑교육 발전과정 : 월간『위기천지』를 중심으로 =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-Based on the Journal『The World of Weiqi』-
- 왕정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