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관광가이드북의 기능주의 번역 전략 연구 : 『알뜰여행의 금낭(窮游錦囊) '다리(大理)편'』 을 중심으로
- 황상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20]
-
2.
- 배낭족에서 여행 크리에이터로 : 한국 사회의 전지구화와 해외여행의 분화 = From Backpackers to Travel Creators: Globaliz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Overseas Travel in Korean Society
- 이민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한국과 일본의 테마여행도서 비교 및 분석 : 인터넷 도서 판매 사이트를 중심으로
- 이현지,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, [2011]
-
4.
- 유럽 단체여행의 변천과 공간적 이동패턴 = Transition and Pattern of Spatial movementof European group travel
- 윤현경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5.
-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중심 교수형 한국어 문화 활동 교재 개발 : 여행하면서 배우는 신나는 한국어 1, 2
- 김유나,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, [2013]
-
6.
- 여행도서 콘텐츠에 반영된 여행트렌드 분석 = Analysis of Travel Trends as revealed in Travel Publications
- 조명화,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7.
-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국내 대형항공사 서비스 차별화 방안 : 국내 20·30대 자유여행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내 서비스를 중심으로
- 최희석, 성균관대학교, [2017]
-
8.
- 진정성 여행의 사회학적 연구 : 인도여행의 상상과 실천
- 김동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9.
- 한국에서 해외관광의 형성 : 1980년대 ‘해외여행자유화’를 중심으로
- 알리예바 바하르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17]
-
10.
- 비주얼 북마크를 활용한 웹기반 여행계획시스템 설계 및 구현
- 이하영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