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"사드적 여성"의 문학적 (탈)재현 : 안젤라 카터의 도덕적 포르노그래피 = Literary (De)Representations of “Sadeian Women”: Angela Carter’s moral pornography
- 강영아, 부산대학교, [2012]
-
2.
- 가부장적 신화 해체를 통한 여성의 정체성 확립 : 안젤라 카터의 소설 연구
- 정노석, 동아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3.
- 안젤라 카터의 노마드적 사유와 탈주적 글쓰기 : 들뢰즈와 가타리의 이론을 중심으로
- 김기문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4.
- 주디스 버틀러의 환상적 젠더 정체성과 안젤라 카터의 『서커스의 밤』연구 = (A) Study of Judith Butler's Fantastic Gender Identity and Angela Carter's Nights at the Circus
- 조현순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5.
- 안젤라 카터의 『서커스의 밤』에 나타난 여성의 몸과 여성주의적 글쓰기
- 강선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6.
- 안젤라 카터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: 「유혈의 방」과 『현명한 아이들』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identity of women characters in Angela Carter's the bloody chamber and wise children
- 남효정, 부산대학교, [2008]
-
7.
- 크리티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안젤라 카터의 「마왕」 읽기 = Reading Angela Carter's "The Erl-King" to Cultivate Critical Literacy
- 김희은, 전남대학교, [2023]
-
8.
- 현대 여성작가들의 셰익스피어 다시쓰기 : 제인 스마일리의 『천 에이커』와 안젤라 카터의 『현명한 아이들』을 중심으로
- 도해자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11]
-
9.
- 안젤라 카터의『피로 물든 방』에서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늑대의 의미
- 이엄지, 부경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10.
- Conceptualizing the uncanny : focusing on E. T. A. Hoffmann's Der Sandmann and Angela Carter's The Magic Toyshop
- 이지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