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전통 만들기에서 시대성과 지역성 찾기 : 통제영 둑제 사례를 중심으로 = Exploring the temporality and the locality in inventing tradition : Focusing on the Case of Tongjeyeong Dukje
- 석효정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맛의 압축과 메티스적 장 담그기 : 하이 모더니즘적 간장의 유입과 그 대응 = Compression of flavors and Metis style sauce making : The introduction of high modernistic soy sauce and its response
- 류태곤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3.
- 사회적 드라마로서의 도시재생사업과 그 안의 공동체성 : 경북대 혁신타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= Urban Regeneration as a Social Drama and Communality within it : Centering on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novation Tow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
- 박규훈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4.
- 힘겨루는 심층놀이: 청도소싸움을 중심으로 = Power struggles Deep play: Focucing on the Cheongdo Bullfight
- 이채현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대구 서문야시장에서 시공간의 분할과 상업민속의 형성 = Sharing and Folklore Formation in Seomun Night Market, Daegu
- 한승희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6.
- 대형실험시설을 활용한 재난 임시주거용 모듈러주택의 내환경 성능에 관한 연구
- 안승택,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7.
-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: 경기남부 논밭병행영농의 환경, 기술, 역사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= An Anthropological Study of Modern Agriculture and Traditional Practices in Colonial Korea
- 안승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8.
- 양수리에서의 지역의 시공간적 구성 : 기술의 도입과 문화적 전유에 대한 역사인류학적 접근 = Spatio-temporal construction of the region at Yangsu-ri : an historical anthropological approach to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and cultural appropriation
- 안승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1998]
-
9.
- 흰쥐경골에 각종굴곡변행이 성장에 따르는 변화
- 안승택, 카톨릭대학교, [1979]
-
10.
- 주시점의 방향이 다양한 위치에서 제시되는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= (The)effect of the point of gaze on the reaction time to visual stimulus
- 안승택,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