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통합 독서토론논술 프로그램 연구 = A Study of a Unified Reading and Writing Program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
- 김민정,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, [2007]
-
2.
- 다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미적체험 영역 분석 = An Analysis Study on the Section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Art Textbook of Middle School for Education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e
- 채지혜,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3.
-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an International Service-Learning Program on Students’ Self-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Social Responsibility = 국제 봉사 학습 프로그램 참여가 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
- 알렌 크리스틴 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4.
- 다문화교육(Multicultural education)을 위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= An analysis on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 relat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
- 안상희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5.
-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
- 권희연,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, [2017]
-
6.
- 초등학교 1, 2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요소 비교 분석 :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= (A) comparative study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slementary schools:focued on the 7th curriculum and 2007 revisions
- 이재향,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7.
- 세계시민교육의 글로벌 의제화
- 조현지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8.
-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개발 필요성 및 방향 : 중학교 미술교사 대상 인식조사를 중심으로
- 최소라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9.
-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
- 김예지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10.
- 한국 지구시민교육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
- 이가영, 경희대학교 NGO대학원,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