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북한출신 청소년을 위한 강점기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
- 한하민,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2.
- 병리적 자기애의 두 하위유형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: 긍정 및 부정 자기복잡성의 매개효과 = The effect of Two sub-factors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self-esteem: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-complexity
- 김이윤, 아주대학교, [2017]
-
3.
-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: 자기개방의 조절효과
- 최장현, 아주대학교, [2015]
-
4.
- 역전이 관리능력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: 상담자 상태불안의 매개효과
- 김택준, 아주대학교, [2014]
-
5.
- 정서표현에 대한 자기방어적 및 관계관여적 양가성과 이성관계만족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
- 조영원, 아주대학교, [2017]
-
6.
-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용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: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된 조절효과
- 이나라, 아주대학교, [2016]
-
7.
- 상담실의 인상이 상담에 미치는 영향
- 최민헌, 아주대학교, [2013]
-
8.
- 개인기준 및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: 자기은폐의 매개효과
- 김주영,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9.
-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: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= The Mediating Effect of Self-sile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: Testing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
- 노현주, 아주대학교, [2021]
-
10.
- 상담자,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, 작업동맹, 상담성과 간의 관계 :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= The Relationships between Counselor's and Client's Counseling Expectation, Working Alliance, and Counseling Outcome : Testing Actor and Partner Effects
- 하철오, 아주대학교,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