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신주연 작곡 거문고 협주곡 <비상> 분석 연구 = An Analytic of <Soar>, a Geomungo Concerto Composed by Sin Ju-yeon
- 송민정, 한국예술종합학교, [2022]
-
2.
- 학교폭력 피해·가해 중복 경험 학생을 상담한 전문상담교사의 경험 탐구
- 이순지, 인하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3.
-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과 대학진학 경험 연구
- 홍지선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8]
-
4.
- 도박중독 및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= Qualitative Meta-Analysis on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and Recovery
- 노은주,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, [2022]
-
5.
- 저경력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스트레스간의 탐색적 관계
- 김수민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6.
-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연구
- 김지영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7.
- 초등교사의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(ADHD) 아동을 위한 대처방안 및 교육적 중재 활동 : 중요도와 실행도의 관계
- 김진선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8.
- 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=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
- 반승관, 인하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불안정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=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-being: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elationship
- 윤경빈,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, [2024]
-
10.
- 초등학생의 10분 명상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연구: 학교행복감 중심으로
- 신계숙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