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장소애착과 친환경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=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Pro-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among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
- 이한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수도권 교외지역의 변화와 쇠퇴 : 쇠퇴 탐색과 쇠퇴 특성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Decline of the suburban region of Seoul: : exploring relative differences within the suburbs
- 홍유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3.
-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시공간 역동성 연구 =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Urban-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
- 최아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재현과 비재현의 스펙트럼 : 광화문 네거리의 도시 상징경관을 사례로 = Spectrum of Representation and Non-representation: The Case of Urban Symbolic Landscape in Gwanghwamun Intersection
- 오동훈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지역 환경에 따른 아동의 독립적인 이동성 비교연구 : 강동구 길동과 양평군 강상면의 초등학생을 사례로 =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hildren's Independent Mobility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/ Environment : An example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ildong, Gangdong-gu and Gangsang-myeon, Yangpyeong-gun.
- 이혜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종합 지표를 통한 우리나라 소규모 도시 역량 평가 = Evaluation of Small City Strength in Korea through Comprehensive Index
- 이석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효율적인 수치지도 제작, 유통을 위한 국가 GIS 통합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= (A) research on GIS standard plan on the effective national digital mapping
- 신정엽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1998]
-
8.
- 조선시대 번각본의 간행 양상과 판각 현상 분석 = Analysis of the Publication Patterns and Bungak Phenomenon of Bungak Version in the Joseon Dynasty
- 신정엽, 경북대학교대학원, [2021]
-
9.
- 朝鮮時代 小學의 刊行과 版本 = Publication and Printed Books of Sohak(小學) in JoSeon Dynasty(朝鮮)
- 신정엽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10.
- 저강도 운동량에 따른 UCP2 mRNA와 UCP3 mRNA의 변화
- 신정엽,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