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선시대 중앙 武學 교육기관 연구 : 訓練院과 武廟 설치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entral Muhak(武學) Educational Institu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: With a Focus on Hullyeonwon(訓練院) and the Establishment of Mumyo(武廟)
- 류정민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조선후기 검서관 제도의 성립과 위상변화 = The formation and alteration of status of Geomseogwan system in the late Chosun dynasty
- 이은주, 건국대학교, [2013]
-
3.
- 조선 후기 磁器 제작의 변화와 燕行使의 磁器 인식 = Changes of porcelain produ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Yeonhaengsa’s porcelain perception
- 표시목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19세기 중반의 정치 상황과 헌종의 국정 운영 =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mid-19th Century and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of King Heonjong
- 방성원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5.
- 17세기 초 조선 被擄人과 對日 사신의 일본인식 = Perception of the Japan between the prisoners and the envoys toward Japan from Joseon in early 17th Century
- 박소연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6.
- 조선 전기 圖畵署의 설치와 그 의의 = The establishment and significance of the painting bureau(Dohwaseo) in the early Joseon dynasty
- 조정은, 건국대학교, [2016]
-
7.
- 勢道政治期 관료 鄭元容(1783-1873)의 정치 활동 = Political activities of Jeong Won-yong, an official in the period of Sedo politics
- 김해인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8.
- 조선중기 여성상에 대한 고찰 :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을 중심으로
- 박세영,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9.
- 조선시대 追尊王의 追尊論 전개와 ?廟 과정 = Development of Discourse on Chujon of Chujon Kings and the Processes of Bumyo
- 문영자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10.
- 이황의 서간 속 '知人'과 교유양상 = 'Acquaintance' and aspect of companionship in Yi Hwang's Letter
- 배병권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