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승효상의 건축관'地文'의 개념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H-Sang Seung's Architectural Concept of 'LandScript' and its Design Features
- 장소미,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, [2015]
-
2.
- 미니멀리즘 건축공간에 나타나는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: 승효상과 루이스 칸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Minimalism : With Special Reference to Seung Hyo Sang and Louis I. Kahn
- 배동준,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, [2006]
-
3.
- 승효상 건축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minimalism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Seung Hyo Sang's design works
- 김영훈,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, [2003]
-
4.
- 한국 현대건축의 비움 담론을 통해 본 민현식과 승효상의 글과 설계작품 분석
- 한다빈, 숭실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‘비어있음(Emptiness)’의 건축적 해석을 통한 비교 연구 : Louis I. Kahn과 승효상의 건축을 중심으로
- 최지연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6.
- 김수근과 승효상의 공간시퀀스에 관한 연구 : 공간사옥과 웰콤시티를 중심으로 = Study of space sequence by Kim Su-guen and Seung Hyo-sang : focusing on space group and welcommcity
- 임서영, 동서대학교, [2017]
-
7.
- 승효상 건축의 특성을 응용한 반지 조형 연구
- 남궁혜원, 國民大學校 大學院, [2000]
-
8.
- 근 · 현대 한국 건축가 작품에 투영된 현상학적 공간 체계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Phenomenological Spatial Systems Reflected in the Work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s
- 이정훈, 서울과학기술대학교, [2024]
-
9.
- 傳統性과 現代的 同時代性에 根據한 韓國住居形式의 提案을 爲한 槪念에 關한 硏究 = Towards a synthesis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Korean housing pattern
- 승효상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80]
-
10.
- 한국 현대건축과 출판매체 = Modern Korean architecture and publication media
- 방유경,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,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