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자랏골의 비가』 의 인물 연구 : 남성상과 여성상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haracter of <Tragedy of jarat'gol> : focused on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
- 위하이, 아주대학교, [2017]
-
2.
- 서기원의 초기소설에 나타난 '아브젝시옹(abjection)' 연구 = A Study on the "abjection" in Seo Ki-Won's Early Novels
- 김민지, 아주대학교, [2014]
-
3.
- 최명희 『혼불』의 인물 유형 연구 : 음양오행론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"Honbul" by Choi, myung-Hee
- 김정애, 아주대학교, [2009]
-
4.
- 김소진,기형도 작품 속 '아버지'상 고찰
- 박원주, 아주대학교, [2009]
-
5.
- 1960년대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현실 대응 양상 : 최인훈의『광장』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Reality confrontation aspect of subject that appear to Modernism Novel in the 1960s : Based on Choe In-hun's 『Gwangjang』
- 김동환, 아주대학교, [2009]
-
6.
- 과정 중심의 독서 지도가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
- 김순애, 아주대학교, [2003]
-
7.
-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
- 권세영, 아주대학교, [2015]
-
8.
- 은희경과 위화의 성장소설 비교 연구 : 은희경의 『새의 선물』과 위화의 『가랑비 속의 외침』을 중심으로
- 청야난, 아주대학교, [2015]
-
9.
- 영화를 활용한 소설교육 연구 : 「오발탄」을 중심으로
- 강현주,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10.
- 1930년대 대중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: 심훈의 『상록수』를 중심으로
- 문미정,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