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쇤베르크의 초기 가곡에 나타나는 구조적 결정 요소로서의 반음계주의
- 김유미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2.
- 쉔커식 분석이론에 의한 바흐(J.S. Bach)의 《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》 제2번 '샤콘느' 분석 및 연주법 연구
- 김서희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3.
- 클라라 슈만의《유쿤데에 의한 6개의 가곡》, 작품번호 23의 분석과 연주법적 제안
- 송문진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4.
- 베베른의 초기 가곡에 나타나는 조성음악어법 연구
- 이고은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5.
- 쉔커식 분석이론의 관점에서 본 18세기 "뒤바뀐 재현부"를 갖는 소나타 형식의 구조적 특징 =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ighteenth-century sonata form with a reversed recapitulation from the Schenkerian perspective
- 신동진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6]
-
6.
- 졸탄 코다이의 <무반주 첼로 소나타>, Op. 8에 대한 분석적 연구 : 헝가리 민속적 음악어법을 중심으로
- 양윤정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7.
- Be>la Barto>k의「Ten Easy Piano Pieces」에 나타나는 음고 구조에 관한 분석 연구 = (An) analytic study on pitch-class structure of Be>la Barto>k's Ten Easy Piano Pieces
- 엄두식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8.
- Be>la Barto>k의 「5개의 가곡」, Op. 15의 분석연구 = (An) analytic study of Be>la Barto>k's Five Songs, Op. 15
- 박경린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9.
- 리스트의 가곡집 <사랑의 꿈>에 나타나는 음악과 가사의 상호작용 : 개념적 혼성 이론과 쉔커식 이론의 관점으로
- 김선빈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10.
- Arts PROPEL을 적용한 표제음악 감상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: 중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
- 양선정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